스테인리스강 |
글로벌 시장에서 지속되는 수요와 공급 간 힘겨루기
2025년 2월, 중국의 스테인리스강 수출입 시장은 춘절 연휴와 글로벌 수급 변동의 영향을 받아 수입과 수출이 모두 전월 대비 감소했다. 특히 인도네시아산 스테인리스강의 수입 비중이 소폭 감소했으며, 제품 유형별로도 상이한 변화를 보였다. 한편, 원자재 가격 변동으로 인해 시장 가격은 좁은 범위에서 등락을 거듭했다. 수출의 경우, 건설 산업 침체로 인해 전월 대비 급감했으나, 신흥 산업의 수요 증가로 인해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다. 3월에도 수출입 시장에 변화가 예상되며, 글로벌 스테인리스강 시장의 장기적인 공급과 수요 불균형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스테인리스강 수입 동향
1. 수입 규모 및 변화
SMM(上海有色网) 자료에 따르면, 2025년 2월 중국의 스테인리스강 수입량은 16만6천 톤으로, 전월 대비 2%, 전년 대비 27% 감소했다. 특히 인도네시아산 수입량(스크랩 제외)은 13만5천8백 톤으로, 전년 대비 32%, 전월 대비 2.5% 줄었다. 이는 춘절 연휴로 인한 생산 및 물류 중단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인도네시아산 스테인리스강의 전체 수입 비중은 81.7%로, 1월(82%) 대비 소폭 하락했다.
2. 제품별 수입 변화
제품 유형별로 살펴보면, 인도네시아산 반제품 수입이 전월 대비 46% 감소했으며, 열연 제품은 전월 대비 22%, 전년 대비 60.3% 줄었다. 반면, 냉연 제품은 전월 대비 16%, 전년 대비 27.7% 증가하며 차별화된 수요 흐름을 보였다.
3. 수입 시장에 영향을 미친 요인
스테인리스강 수출 동향
1. 수출 규모 및 변화
SMM에 따르면, 2025년 2월 중국의 스테인리스강 수출량은 33만7천 톤으로, 전월 대비 33% 감소했으나 전년 대비 5% 증가했다. 춘절 연휴 동안 물류 및 무역 활동이 둔화되면서 단기적인 감소가 발생했지만, 전년 대비 수출 증가세는 해외 시장에서 중국산 스테인리스강의 경쟁력을 시사한다.
2. 제품별 수출 변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협폭 스트립 및 파이프 제품과 같은 원자재 형태의 수출량이 감소한 반면, 완제품 수출은 전월 대비 137% 증가했다. 이는 해외 시장에서 특정 유형의 스테인리스강 제품 수요가 증가했음을 나타낸다.
3. 수출 시장에 영향을 미친 요인
- 해외 수요: 1분기 해외 건설 산업의 부진이 스테인리스강 소비를 억제했으며, 신흥 산업에서의 수요 증가도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렀다.
- 국제 무역 환경: 2025년 2월,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면서, 향후 미국으로의 스테인리스강 수출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커졌다. 또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현지 철강 생산능력이 증가하면서 무역 장벽이 강화되어 중국의 수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전망
3월에는 글로벌 하류 산업 수요 회복과 국제 무역 정책의 영향을 받아 스테인리스강 수출이 다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글로벌 시장의 공급과 수요 불균형이 장기적으로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중국의 스테인리스강 수출 환경은 여전히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Tags
ALLO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