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CO Future M, InterBattery 2025에서 차세대 양·음극재 기술 공개

POSCO Future M

초고니켈·실리콘 탄소 음극재 등 혁신 기술 선보여

POSCO Future M이 5월 5~7일 서울 COEX에서 열리는 'InterBattery 2025'에서 새로운 양극재 및 음극재 기술을 공개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고성능 전기차 배터리 소재 로드맵과 원료·소재·리사이클링을 포함한 공급망 성과를 선보일 예정이다.

초고니켈 양극재 및 실리콘 탄소 음극재 도입

먼저, 주행거리가 긴 전기차를 위해 **니켈 함량 95% 이상의 'Ultra Hi-Ni(초고니켈) 단결정 양극재'**를 소개한다. 이 소재는 고출력·장거리 주행이 필요한 프리미엄 전기차용으로 개발되었으며, 2026년 양산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기존 흑연 기반 음극재보다 약 5배 높은 저장 용량을 갖춘 '실리콘-탄소 음극재'**는 지난해 5월부터 실증 플랜트에서 운영 중이며, 2027년 양산을 목표로 한다.

고속 충전 및 가격 경쟁력 강화 위한 신소재 도입

고속 충전을 가능하게 하는 저팽창 천연흑연 음극재도 선보인다. 이는 리튬 이온 이동성을 개선하고 부피 팽창을 줄여 충전 속도를 기존 제품 대비 30% 단축할 수 있는 소재로, POSCO Future M이 자체 개발하여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공급 중이다. 또한, 전기차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양극재 솔루션을 공개한다.
  • 리튬인산철(LFP) 양극재
  • 리튬망간풍부(LMR) 및 리튬망간인산철(LMFP) 양극재
  • 고전압 중니켈 단결정 양극재
LMR 양극재는 니켈·코발트 비중을 줄이고 망간을 증가시켜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한편, LFP 대비 최대 30% 높은 에너지 밀도를 제공한다. 2024년 내 양산 기술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고전압 중니켈 단결정 양극재는 니켈 함량을 약 60%로 낮추면서도 고전압을 적용해 높은 에너지 밀도를 유지하는 기술로, 중저가 전기차용 배터리에 적합하다.

배터리 산업의 미래 기술 및 공급망 확대

POSCO Future M은 이번 전시에서 POSCO N.EX.T Hub에서 개발 중인 차세대 소재도 소개한다.
  • 고체 전해질
  • 리튬 금속 음극재
또한, POSCO Holdings의 직접 리튬 추출(DLE) 기술, 니켈 습식 정련 공법, 건식 재활용 기술(POS-Pyrocycle) 등 공급망 확장 전략도 공유할 예정이다. POSCO 그룹은 아르헨티나 리튬 염호, 호주 리튬 광산, 인도네시아 니켈 제련소, 아프리카 흑연 광산 등에서 적극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POSCO International은 2023년 5월 및 2024년 9월에 호주 Black Rock Mining의 자회사인 탄자니아 FARU Graphite와 25년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POSCO는 또한 전기차용 배터리 팩 및 원통형 배터리 캔 소재를 포함한 강재 제품도 이번 전시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